Study
-
[GitHub] 이슈, 풀리퀘 템플릿 만들기Study 2024. 8. 26. 12:18
1. 이슈 템플릿 만들기저장소 상단 오른쪽 Settings 클릭 General 탭에서 스크롤 내리면 Features > Issues > Set up templates 클릭 Custom template 클릭 Preview and edit 클릭 작성 후 상단 초록 버튼 Propose changes > Commit changes 누르기 이슈 생성 시 적용된 모습 2. 풀리퀘 템플릿 만들기Create new file 클릭 .github / pull_request_template.md 파일 생성 항목 작성 후 Commit Changes 클릭
-
[GitHub/소스트리] 깃헙 협업 할 저장소에 프로젝트 올리고 클론하기Study 2024. 8. 26. 10:39
1. 저장소 내 PC로 옮기기 (클론 받기)초록색 Code 버튼 누른 후 HTTPS의 url옆에 복사 버튼(사각형 두개) 눌러서 url 복사해주기 터미널에서 원하는 파일 위치로 이동(클론될 장소) cd 폴더이름새 폴더 만들고 싶으면 mkdir 폴더이름git clone 복사한 저장소 urlgit clone 명령어를 통해 클론 받아주기 클론 받은 저장소 파일로 이동 해서 .git 파일이 있으면 잘 클론된 것. 해당 파일은 깃에 의해 추적된다. ls -al 명령어로 숨겨진 파일 확인 가능 2. SourceTree로 확인소스트리에 들어가서 상단 메뉴에서 로컬 저장소 추가하기 클릭 아까 클론 받아준 파일 위치로 들어가서 저장소 이름을 가진 폴더 선택 후 열기 (README 파일이 있고, .git파..
-
[GitHub] 깃헙 Organization 만들어서 협업하기Study 2024. 8. 26. 10:12
개인 repository가 아닌 organization을 만들면 팀원들을 초대해서 공동 작업을 더욱 편하게 할 수 있다 깃헙에 로그인한 후, 우측 상단 +를 누르면 New organiztion 버튼이 있다. 유료 버전과 무료 버전이 있다. 맨 왼쪽 무료 버전 Create a free organization 클릭 조직의 이름과 조직의 이메일을 적으면 된다.다음 칸에는 조직의 이름을 적어주었다 맨 아래 동의하고 Next 클릭 초대할 팀원들의 이메일 또는 깃헙닉네임으로 초대를 해준다.팀원들은 메일을 통해 초대를 승낙하면 조직에 들어올 수 있다. 깃헙 organization이 만들어진 모습이다! [오른쪽 메뉴]- View as를 통해 public으로 할 지 member들만 보이게 할 지 정할..
-
[GitHub] PR(풀리퀘) 작성 시, 이전의 다른 브랜치의 이슈가 따라오는 문제, stacked changesStudy/Server 2024. 1. 17. 15:36
- 문제 상황 한 branch에서 작업하다가 PR 올린 상태 -> 이후 merge가 안된 상태(코드리뷰를 계속 받고 있다던지)로 다시 또 branch를 파서 작업하다가 develop에 PR을 올린 경우 하지만 원래 develop에서 branch를 생성하기에는 merge가 아직 안된 branch에서 작업한 코드가 필요한 경우 merge가 되기까지 기다리고 branch 생성하는건 시간이 없을 수 있다. 예를들어 과제하는 상황에서 자주 일어나는데, 1주차 과제를 하고 PR 올렸는데 과제 검사를 받느라 merge 안 된 상태로 2주차 과제(1주차 과제의 코드가 필요한 작업) branch를 파서 진행하고 또 PR 올리는 경우, 1주차의 commit 내역들이 따라오곤 한다. - 다른 branch의 commit내역들..
-
[Spring/Boot] Name for argument of type not specified, and parameter name information not available via reflection 에러Study/Server 2024. 1. 17. 14:51
- 에러 문제 상황 스프링부트 실행 하다가 Name for argument of type [java.lang.String] not specifed, and parameter name information not available via reflection 문제 발생 Name for argument of type [java.lang.String] not specifed, and parameter name information not available via reflection String 유형의 인수 이름이 지정되지 않았고, 매개 변수 이름 정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 - 원인 어디서 저런 에러를 발생시켰나 살펴본 결과 Controller의 메소드에서 문제 발생 os 정보를 헤더에서 string으로 받는..
-
제로베이스의 <한달한권 | 클린코드> 수강후기Study/클린코드 2022. 7. 10. 02:58
한달한권 | 클린코드 카카오페이 개발자가 재해석하는 개발자들의 필독서라고 할 수 있는 로버트 C.마틴의 『클린코드』 사람들과 같이 개발하는 사람이라면,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팀의 일원이라면 새겨들으면 좋을 법칙들이 적혀있다. 나도 꼭 언젠간 읽어봐야지 생각만 하고 읽기를 미뤄왔던 도서(도서관에 가면 항상 대출중이라 뜨던 인기있는 책이더라) 클린코드를 제로베이스의 해설강의를 통해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읽어보았다. 30일 동안 하루는 독서, 하루는 강의를 듣는 식으로 15개의 강의, OT와 아웃트로를 합하여 17개의 강의로 이루어져 있다. 한 달 동안 아래와 같은 과정을 반복했다. 1_ 책을 읽는다. 독서 스케줄표에 나와있는 하루 분량대로 책을 읽는다. 소주제에 따라 나뉜 분량대로 길어야 30페이지 ..
-
♻️[클린코드] #6 오류 처리Study/클린코드 2022. 6. 30. 17:31
우아하게 예외 처리하기 ♻️ 예외 처리 방식 - 오류 코드를 리턴하지 말고, 예외를 던지자(당연한 말) 과거에는 오류를 나타낼 때 에러코드를 리턴했다. 하지만 예외를 던지는 방식이 더 명확하고, 처리 흐름이 깔끔해진다. - 예외를 던지고, 처리하는 방식들 - 오류가 발생한 부분에서 예외를 던진다.(별도의 처리가 필요한 예외라면 checked exception으로 던진다) - checked exception에 대한 예외 처리를 하지 않는다면 메서드 선언부에 throws를 명시해야 한다. - 예외를 처리할 수 있는 곳에서 catch하여 처리한다. (try-catch문) ♻️ Unchecked Exception을 사용하라 - Exception 가계도 - Exception에 관한 규약 자바 언어 명세가 요구하는..
-
♻️[클린코드] #5 객체와 자료구조Study/클린코드 2022. 6. 30. 17:10
객체와 자료구조로 데이터 표현하기 ♻️ 자료구조(data structure) vs 객체(object) - 공통점 둘 다 클래스를 통해 만들어진다. - 차이점 자료구조(Data Structure) 객체(Object) 데이터 그 자체 비즈니스 로직과 관련 자료를 공개해야한다.(이 클래스가 어떤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는지 공개) 자료를 숨기고, 추상화 (자료를 다루는 함수만 공개) 변수 사이에 조회 함수(getter)와 설정 함수(setter)로 변수를 다룬다고 객체가 되지 않는다. 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사용자가 구현을 모른 채 자료의 핵심을 조작할 수 있다. - 상황에 맞는 선택 자료구조 사용 : (절차적인 코드) 기본 자료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 함수를 추가하기 쉬움 새로운 자료구조를 추가하기 어려..
-
♻️[클린코드] #4 형식 맞추기Study/클린코드 2022. 5. 30. 21:37
코드의 가독성에 필수적인 포맷팅 ♻️ 포맷팅이 중요한 이유 - 가독성에 필수적이다 코드를 수월하게 읽어나갈 수 있고, 아마추어처럼 보이지 않는다. 포맷팅이 되어있지 않아 코드를 잘못 해석해 버그를 발생할 수도 있는데 포맷팅을 통해 가독성을 높혀 위험을 줄인다. ex) 줄바꿈 간격 ♻️ 클린코드 포맷팅 - 적절한 길이 유지 엄격한 규칙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200줄 정도로 제한한다. (그래도 최대 500줄) 코드가 200줄을 넘어간다면, 클래스가 여러 개의 일을 하고 있을 수 있다. -> SRP에 위배된다. - 밀접한 개념은 서로 가까이 다른 개념들끼리 빈 행으로 분리한다. 변수는 사용되는 위치에서 최대한 가까이 선언한다. ♻️ Java Class Declarations - Java Class Decla..
-
♻️[클린코드] #3 주석Study/클린코드 2022. 5. 23. 15:34
♻️ 주석을 최대한 쓰지 말자 - 주석은 나쁜 코드를 보완하지 못한다. 코드에 주석을 추가하는 일반적인 이유 -> 코드 품질이 나쁘기 때문에 설명하려고 주석을 작성하는 경우이다. 주석을 작성할 시간에 코드를 알아듣기 좋게 개선하는데 시간을 보내는 것이 좋다. ex) 코드를 함수로 분리해서, 함수 이름으로 코드의 의도를 표현한다. - 주석은 방치된다. 요구사항에 따른 코드의 변화가 생길 때 주석은 따라가지 못한다. 주석은 그저 주석이기 때문에 컴파일 되지 않고 방치된다. 결국 나중에 의미없는 텍스트가 된다. ♻️ 좋은 주석 주석을 쓸거라면 좋은 주석을 쓰자! - 구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출력 포맷에 대한 정보를 제공 ex) 날짜 출력 형식 주석으로 표시 - 의도와 중요성을 설명한다. ex) 스레드를 ..